<치매예방 프로그램>

건강한 상태에 있는 노인의 건강을 보호 또는 증진하는 것과 치매 질병 발생을 예방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신체활동, 인지기능, 건강상태, 문제 행동 및 사회성의 유지 또는 향상을 위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뜻한다

자극중심 접근법(Stimulation-Oriented Approaches)
치매로 인한 행동심리 문제증상(BPSD)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수행하는 심리∙사회적 접근법의 일환이다.
더불어 인지능력 및 인지기능의 향상, 사회화 기회 제공의 효과가 있다
(김은영 외, 2016; Baker et al., 1997; Rabins, Rovner, Rummans, Schneider & Tariot, 2014).

  • 첫째, 원예 활동이다.
  • 둘째, 동물매개 활동이다.
  • 셋째, 음악치료는 음악을 도구로 사용하여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클래식뿐만 아니라 동요, 민요, 가요 등을 통해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 넷째, 미술요법은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심리적∙정서적 갈등을 완화시켜 원만하고 창조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리치료법이다. 테두리법, 그림 완성하기, 난화 그리기, 자유화, 주제화, 풍경화, 자신 표현하기, 협동화,
    그림 대화하기, 콜라주, 조소, 동그라미 그려주기(만다라), 손과 신체 본뜨기, 감정사전 만들기, 손바닥 찍기, 핑거페인팅,
    데칼코마니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권중돈, 2004; 조유향, 2006; Abraham, 2008).
  • 다섯째, 노인들의 필요한 관절이나 근육을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움직이게 하는 운동요법이다(최낙원, 2018). 기능훈련으로는 매트운동, 평행봉, 지팡이, 의지 장구 등을 이용한 보행훈련 등이 있다(권중돈, 2004)

원예치료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즐기도록 하여 만족감과 보람을 느끼게 하는 정신적 안정을 주 목표로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의 획득, 자기성찰 기회 제공, 과거 기억의 회상, 지속적 대인 관계 유지, 자기표현력과
인지기능의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손기철 외, 2002).

집단미술치료

미술을 매개로 하여 집단원의 내면에 간직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것을 돕고, 언어로 자신을
표현할 때 느끼는 감정의 위기를 완화할 수 있으며(김선현, 2010), 시각적 매체라는 점에서 무학이거나
언어표현에 서툰 노인들에게도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다(정혜란, 2006).

특히, 집단미술치료는 집단 구성원들과 함께 과업을 수행하고 과제에 대해 집단 토론과 피드백을 교환하고,
긍정적인 사회경험을 함으로써 사회적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며(한국미술치료학회, 1994),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킨다.

통합적 접근법

자아존중감, 삶의 질, 의사소통,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능, 우울, 신체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신체적
치매위험인자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노인에게 다양한 접근법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효과성 또한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인지중심 접근법

자아존중감, 인지기능, 우울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인지중심은 접근법이 인지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노인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우울 감소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Visit Us

주소: 부산 부산진구 중앙대로 790 2층 

사업자 번호: 683-15-02184

Contact Us

대표 번호: 051-805-5896

Copyright © 2023 세렌디 언어 심리 운동 센터 All Rights Reversed

Scroll to Top